해운대해수욕장 9

해운대해수욕장? 해운대해변?…해수욕장과 해변이 뭐기에?

"해운대해수욕장? 해운대 해변?" "해운대구청과 해운대구?""해수욕장과 해변이 헷갈려요.""해수욕장도 가고 싶고 해변도 거닐고 싶어요.""그럼 해운대로 가보세요. 참 멋진 곳입니다." 해운대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게 해운대해수욕장입니다. 전국적으로 해운대해수욕장이 워낙 유명하다보니 해운대라는 지명하면 해수욕장을 우선 떠올리게 됩니다. 해운대에는 해수욕장만 있는게 아닙니다. 해운대해수욕장이 맞을까요? 아니면 해운대해변이 맞을까요? 최근 한 구청의 명칭변경 움직임과 관련해 해수욕장과 해변에 관해 살펴봤습니다. 부산 대표 해수욕장 해운대해수욕장? 해운대해변? 부산 해운대구는 국내 해수욕장들이 '해수욕장'을 '해변'으로 이름을 변경하는 추세에 따라 해운대와 송정해수욕장의 명칭변경에 대한 주민 의견을 수렴한다고..

에코칼럼 2011.03.03

해운대해수욕장 피서객수 뻥튀기?…해운대해수욕장 인파 어떻게 헤아려?

"무더위와 휴가철이 절정인 가운데 하룻동안 전국 최대의 해수욕장인 해운대를 찾은 피서객수가 100만명을 기록했습니다." "또 100만명이 이야? 도대체 어떻게 믿지?" 여름철만 되면 흔하게 볼 수 있는 언론사들의 보도내용입니다. 조금만 인원이 많으면 해수욕장을 찾은 피서객수가 100만명이 넘는다고 합니다. 하지만, 100만명의 근거가 눈대중인 관계로 믿을 수 없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다소 뻥튀겨진 측면도 있었습니다. 내년부터는 이런 해수욕객 뻥튀기가 대폭 줄어들 것 같습니다. 해수욕객을 제대로 측정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으며 왜 해수욕객이 뻥튀겨 졌는 지 살펴봤습니다. 해운대해수욕장 피서객 100만명은 어마어마한 숫자? 무더위가 절정으로 치닫고 피서철이 다가오면 언론의 단골메뉴가 해운대해수..

에코칼럼 2010.11.12

해운대해수욕장 피서객 1000만명?…해운대피서객 1000만명 통계 믿어도 될까?

해운대해수욕장이 올해도 드디어 피서객 1000만명이라는 기록을 작성했다고 합니다. 해운대해수욕장은 지난 2003년 처음으로 피서객 1000만 명 시대를 연 이후 내리 '1000만 명 돌파'라는 대기록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고 합니다. 과연 전국 최대의 해수욕장으로서 이름값을 톡톡히 하고 있습니다. 피서객 1000만명 대기록은 참으로 의미있는 숫자입니다. 1000만명이라면 우리나라 국민들 4명 중 1명이 여름철인 7월과 8월에 해운대해수욕장을 찾은 셈입니다. 그런데 1000만명이라는 숫자는 숫자일뿐일까요. 아니면 참으로 의미있는 숫자일까요. 혹시 '해운대해수욕장 피서객 1000만명 대기록' 작성이 과연 제대로 된 통계일까라는 생각을 안해보셨습니까. 피서객 1000만명 대기록 작성에 관해 다시한번 더 생각해 ..

에코뉴스 2010.08.25

해운대해수욕장 피서객 100만명?…해운대해수욕장 피서객100만명 진실일까?

“무더위를 피해 피서객들이 산과 계곡에 넘쳐납니다. 휴가철이자 휴일인 8월을 시작하는 1일 부산 해운대 해수욕장을 찾은 피서객만도 100만명에 달합니다." 흔히 듣고 보는 언론보도 내용입니다. 해운대해수욕장을 하루에 100만명이 찾았다면 과연 진실일까요? 한번쯤 이런 궁금증을 품고 있지는 않았나요. 100만명이 찾았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어떻게 셈을 한 것일까요. 과연 100만명 이상이 해운대해수욕장을 찾아 해수욕을 즐기기는 한 것 일까요. 아니라면 언론보도는 어떻게 된 것일까요. 해운대해수욕장 100만명 이상 찾은 해수욕객에 관해 생각해 봤습니다. 인구 100만명이라는 어마어마한 숫자? 해운대해수욕장에 하루동안 다녀간 피서객수가 100만명이라면 어마어마한 숫자입니다. 얼마나 어머어마한 숫자인지 광역시급 ..

에코뉴스 2010.08.02

"비키니 입고 오세요"…비키니 차림 대환영 이곳은? 해운대해수욕장 무슨 일?

"해운대해수욕장 오시면 해수욕 하시고 비키니를 입고 바닷속 생물구경 오세요." "비키니 입고 입장하면 할인해 드립니다." "해운대 추억도 쌓으시고 덤으로 비키니 입고 바닷속 수중생물도 만나보세요." "세상에, 비키니 입고 어떻게 아쿠아리움을 구경하지?""그러게요, 참 이상할 것 같아요." 해운대는 여러가지 볼거리가 많은 대표적인 부산의 명물입니다. 여름을 맞아 많은 사람들이 해운대해수욕장으로 몰려듭니다. 이런 해수욕객을 위해 많은 이벤트와 여러가지 행사가 유혹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비키니를 입고 입장하면 할인해주는 재밌는 곳이 있습니다. 도대체 어떤 곳인지 살펴봤습니다. 비키니를 입고 바닷속 물고기를 구경하라고? 부산은 바다를 접한 도시라 바다와 관련된 시설들이 많습니다. 부산의 명물 해운대는 이름난 해..

에코뉴스 2010.08.01

로또 다람쥐?…헉, 다람쥐가 300만원·3억원이래?

다람쥐 한마리에 3억원, 300만원이라면 믿겠습니까. 무슨 다람쥐이기에 이렇게 비싼 것일까요. 이런 다람쥐 한마리만 잡으면 대박감입니다. 다람쥐 한마리만 잡으면 로또가 따로 없습니다. 그만큼 잡기만 하면 횡재를 하는 셈입니다. 무슨 다람쥐이기에 이토록 비쌀까요. 그런데 가만가만히 보니 이 다람쥐는 진짜 다람쥐가 아닙니다. 도대체 어떤 다람쥐이기에 독특한 사연이 붙은 것일까요. 요즘도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도대체 이 다람쥐는 종적이 묘합니다. 사람들에게 불안감을 심어주고 자연을 파괴하는 이 다람쥐에 관해 살펴봤습니다. 해운대 장산에 무슨일이 주말마다 산불이 발생해 이상한 느낌을 심어준 부산 해운대구 장산에서 평일인 6월14일 또다시 산불이 발생했습니다. 장산은 지난 3월21일 첫 산불이 발생한 ..

에코뉴스 2010.06.15

'해운대해수욕장 피서객 100만명' …해운대해수욕장 피서객 어떻게 헤아렸을까?

"해운대 해수욕장 피서객수 언론마다 다르고 기관마다 다르네요." "그러게요, 왜 천차만별로 차이가 있을까요." "어차피 해수욕장 방문자는 같은데 왜 고무줄일까요." "그러게요, 엇비슷하게라도 헤아리면 좋을텐데 말이죠." "그러게 말입니다. 이런 것 하나 제대로 못 헤아리니 답답하네요." "현대 과학이 아직 못 따라가는 것 같아요." "숫자 측정법 좀 더 정확한 방법이 개발되어야 하겠어요. “무더위를 피해 피서객들이 산과 계곡에 넘쳐납니다. 부산 해운대 해수욕장을 찾은 피서객만도 100만명에 달합니다.“ 흔히 듣고 보는 언론보도 내용입니다. "해운대에 해수욕객이 100만명 몰렸다고요? 진짜입니까? 직접 셈을 해보셨나요?" 회사로 이런 전화가 걸려왔습니다. 이런 질문을 받고보니 대답을 하기가 참으로 난처했습..

에코뉴스 2008.08.11

아쉽다!…해운대해수욕장 조기 개장 안합니다

예년보다 일찍 찾아온 무더위 탓에 시원한 해수욕장에서 물장구를 꿈꿨던 해수욕 마니아들에겐 안좋은(?) 소식인가요. 최근 예년보다 일찍 찾아온 무더위 탓에 사실상 조기 개장에 들어갔던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이 개장시기를 앞당기는 방안을 검토했습니다만 조기에 개장하지 않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고 합니다. 부산지역은 예년에 비해 더위가 일찍 찾아왔습니다. 그러다보니 해수욕장을 일찍 개방해야 한다는 여론이 많았습니다. 이를 두고 해운대구청은 그동안 심사숙고 했습니다. 지금까지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장고에 장고를 거듭한 끝에 결론을 내렸다고 합니다. 일부 언론에서 지나주 '조기 개장않기로 했다'는 보도를 했는데요, 그 당시까지도 사실상 결론을 못내린 상태였습니다. 구청이 심사숙고하게 된 것은 때이른 더위와 함..

에코환경 2008.06.01

바다가 부른다…해운대해수욕장 조기 개장 해? 말어?

부산을 찾는 해수욕객들에겐 안좋은(?) 소식인가요. 지구 온난화 현상인가요. 최근 예년보다 일찍 찾아온 무더위 탓에 사실상 조기 개장에 들어갔던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이 개장시기를 앞당기는 방안을 검토했습니다만 사실상 조기에 개장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물론, 최근 일부 언론에서 '해운대 해수욕장 조기 개장않기로 확정했다'고 보도했습니다만 해운대구청 관계자는 딱히 '조기 개장 한다-안한다'라는 뚜렷한 결론은 내리지 않았다고 합니다. 다만 아직도 수온이 차갑기 때문에 해수욕객의 안전을 우선 고려해 관찰활동을 강화하고 있다고 합니다. 올해 봄은 유난히 덥습니다. 그러다보니 때이른 해수욕객들이 몰리기 시작했는데요. 5월 25일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에는 3만여 명의 인파가 모여 때 이른 더위를 식혔습니다. 이러다보..

에코칼럼 2008.05.31